검사안내
제증명종류 | 재증명비용(원) | 처리기간 | 기타사항 |
---|---|---|---|
건강진단서 | 14,930원 | 익일 오후 3시 | 폐결핵, 성병(매독, HIV), 전염성질환 |
22,270원 | 폐결핵, 성병(매독, HIIV), 전염성질환, 간염 | ||
채용신체검사서 | 21,670원 | 혈압, 체중, 시력, 청력, 신장, 색신, 흉부엑스선촬영, 요당, 요단백, GOT, GPT | |
29,010원 | 혈압, 체중, 시력, 청력, 신장, 색신, 흉부엑스선촬영, 요당, 요단백, GOT, GPT, 간염 | ||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 | 식품 : 3,000원 | 일주일 | 폐결핵,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 이질(학교 종사자) |
휴게 : 3,000원 | 폐결핵,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매독, HIV, 임질, 클라미디아 | ||
질병진단서 | 6,090원 | 당일 | |
진료의뢰서 | 2,200원 | ||
소견서 | 1,100원 | ||
노인요양소견서(일반) | 58,970원 | ||
노인요양소견서(보험) | 11,800원 | ||
치매요양소견서(일반) | 26,510원 | ||
치매요양소견서(보험) | 5,300원 | ||
운전면허적성검사 | 6,590원 |
검사명 | 검사항목 | 검사비용 | 처리기간 | 기타사항 |
---|---|---|---|---|
당뇨검사 | 혈당(FBS, 2PPBS) | 1,560원 | 즉시 | 공복 또는 식후 2시간 |
당화혈색소(HbA1c) | 8,580원 | 3, 6, 9, 12월 검사 | ||
간기능검사 | GOT(AST), GPT(ALT) | 4,430원 | 익일 오후 3시 | |
지질 검사 |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저밀도(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 21,330원 | 8시간 이상 공복 요함 | |
신장기능검사 | 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 5,110원 | ||
일반혈액검사 | 백혈구(WBC), 적혈구(RBC), 혈색소(Hb), 혈소판(PLT) | 6,130원 | 당일 | |
혈액형검사 | ABO Typing, RH Typing | 6,470원 | ||
소변검사 | 요당, 요단백, 잠혈(OB), PH, 현미경 요침사 검사 | 2,310원 | ||
폐결핵검사(흉부방사선촬영) | 결핵 유무 | 8,340원 | ||
골밀도검사 | 골다공증 | 10,000원 | ||
B형 간염 검사 | B형 간염 표면 항원, 항체검사 | 7,340원 | 익일 오후 3시 | |
에이즈검사 | HIV Ab검사 | 무료 | 익명검사 가능 | |
성매개감염병 검사 | 매독(RPR, TPHA), 임질, 클라미디아 |
혈액검사
간기능 검사
- 간이 우리몸에서 하는 일은? : • 간은 우리몸에서 가장 큰 장기로서 각종 영양분을 저장, 공급하고 조혈작용을 도우며, 체내 노폐물을 독성이 없는 물질로 바꾸어 배설하고, 소화 효소의 생산, 호르몬 조절작용으로 신체의 균형을 이루게 하는 등 인체의 화학 공장이다.
- 간질환의 증세 : 간의 기능이 다양하고 중요하므로 각종 간질환에 의하여 간의 기능이 저하되면 여러 가지 이상증세들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간질환은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거의 증상이 없는 것이 보통이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때는 간질환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검사받아야 한다.
- 쉽게 피곤을 느낀다.
- 소화가 잘 안되고 식욕이 부진
- 다리가 붓거나 배가 불러지고, 우상복부 통증.
- 성욕이 감퇴한다.
- 눈이나 피부가 노래진다.
- 잇몸에서 피가 난다.
- 간을 나쁘게 하는 요인들 : 간을 나쁘게 하는 것으로는 지나친 과로 ,음주, 편식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 바이러스 감염(간염), 비만, 약물남용 등을 들수 있다
- 간기능검사
- 혈청지오티
- 주로 간과 심장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신장, 골격, 근육에도 소량 존재한다. 이조직들이 각종 질병으로 파괴되면 이효소가 혈액내로 유출되어 증가됨
- 임상정상치 ; 8~35(unit/l)
- 증가 : 급만성 간염, 심근경색, 담낭염, 간암, 간경화
- 혈청지디피
- 주로 간에 존재하는 효소로 신장, 골격, 근육에도 소량 존재로 간기능장애시 혈청지오티와 함께 증가하나 심근경색시에는 증가하지않으므로 지오티와 함께 검사함 으로써 간기능 장애인지 심근경색인지 구별할수 있다.
- 임상참고치 ; 8~42(unit/l)
- 증가 : 급만성 간염, 담낭염
간염 검사
- 간염은 어떤 질병인가? : 원인이 무엇이든간에 간에 염증이 생겨 간세포가 파괴되는 상태를 말한다. 흔히 알고 있는 원인에 바이러스성(A형 B형 C형, D형, E형), 알코올성, 독성 등이 있는데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B형간염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B형간염이다.
- B형간염의 전파경로는? : 수혈, 혈액오염, 오염된 주사기나 주사침등에 의해 전염되며 특히 수직감염(신생아 출생시) 은 만성 간염이 될 확률이 아주 높다
- 간염의 치료는 어떻게?
- 간염의 치료 원칙은 환자의 신진대사와 면역력을 정상화시켜 간염의 진행을 촉발하는 원인을 제거 하는데 있다.
- ①적절한 휴식 : 안정을 취하면 물질대사의 수요가 감소하므로 그만큼 간의 부담이 줄어들게 서서 활동할 때보다 누워서 안정할 때는 간으로 가는 혈액량이 3배로 증가되어 간염 바이러스를 백혈구 등 혈액성분이 잡아 먹게 된다
- ②영양관리 : 영양관리의 핵심은 면역기능을 개선 촉진하는 식이요법이 중심이되며, 고단백(식물성) 고섬유질식이 좋다.
- ③약물요법 : 결정적인 특효약이 없으며, 시판간장약으로는 간의 대사활동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 대부분이며 건위정장제, 각종 비타민 제등이 주로 사용된다.
- 간염의 치료 원칙은 환자의 신진대사와 면역력을 정상화시켜 간염의 진행을 촉발하는 원인을 제거 하는데 있다.
- HBs Ag검사 (B형간염항원검사)
-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이후 제일 먼저 나타나며 잠복기의 혈청중에 검출
- 검사일 : 매일
- 양 성 : 현재 B형간염바이러스가 있을 가능성과 전염성의 가능성을 나타냄.
-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이후 제일 먼저 나타나며 잠복기의 혈청중에 검출
- HBs Ab검사 (B형간염항체검사)
- HBs 항원이 소실되고 회복기에 나타나며 B형간염의 임상적회복 및 면역형성을 나타냄.
당뇨 검사
- 당뇨병이란? : 당뇨병이란 말그대로 소변에 당이 나오는 병으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함으로 인해 체내 신진 대사가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여 혈액속에 혈당이 많아지고 소변에 당이 나오게 되는 질환이다.
- 혈액속에 당분이 왜 많아질까? : 음식으로 섭취된 영양소는 몸속에서 포도당이라는 물질로 분해되어 일상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게되며 여분의 포도당은 글리코겐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할 때 다시 포도당으로 변화되어 혈액을통해 말초조직으로 운반된다. 이때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은 혈액속의 포도당을 세포속으로 빨리 운반시켜 이용케함으로써 혈당을저하시키는 정보전달자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인슐린이 부족하면 혈액속의 포도당이 근육세포나지방세포속으로 들어가지 못하여 세포는 세포대로 포도당 부족상태가 되고 혈중에는 포도당이많아져 혈당이 높아진다. 이 높아진 혈당은 조직(세포)에서 이용되지 못한채 소변으로 넘쳐흘러 당뇨를 유발시키며 당이소변 으로 빠져 나오면서 물을 같이 끌고 나오기 때문에 소변량도 많아진다.
- 당뇨병의 발병원인
- 유전적 요인 : 질병 자체가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당뇨에 걸리기 쉬운 체질이 유전된다. 부모 둘 다 당뇨병인 경우 자녀의 58%, 부모 중 한 명이 당뇨병인 경우 27%, 부모가 정상인 경우 자녀의 0.87%에서 당뇨병 환자가 발생된다는 사실을 볼 때 유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환경적 요인
- 연령 : 일반적으로 중년 이후에 많이 발생된다
- 임신 : 임신시 호르몬 변화로 인해 당뇨병이 발생된다.
- 감염증 : 췌장염이나 담석증에 자주걸리는 사람은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
- 약물복용 : 부신피질 호르몬,이뇨제 등의 복용은 당뇨병을 쉽게 유발한다.
- 비만 : 40세이후에 발생한 당뇨병 환자의 80%에서 당뇨병 발생 이전에 뚱뚱했던 시기가 있었으며, 비만증이 있으면 여분의 에너지가 지방질로 변하여 지방 조직에 축적되어 인슐린 분비가 나빠져 당대사도 원활히 되지 못함으로 인해 당뇨병이 유발된다.
- 당뇨병의 증상 : 별다른 증상이 없으며 증상이 있더라도 사람마다 제각기 다르다. 전형적인 증상은 다뇨, 다음, 다식으로 그외에 갈증, 피로감, 체중감소, 쇠약감, 가려움증, 신경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당뇨병의 진단
- 뇨당검사 : 소변에서 뇨당이 발견되었다 하여 곧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없지만 당뇨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당검사를 하거나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 혈당검사 : 당뇨병의 진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검사이다. 그러나 한번의 검사로 당뇨병의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워 일정기간동안 진행이나 경과를 관찰하여야 한다 정상인의 공복시 혈당치는 80~120㎎%이며 식사후 2시간이 지나서 검사한 혈당치가 140㎎%이하이면 정상, 200㎎%이상 이면 당뇨병이다
- 합병증 당뇨병의 3대 합병증으로는 망막증, 신증, 신경증이 있다.
- 당뇨성 망막증 : 당뇨병을 치료하지 않은채 10년쯤 지나면 눈의 모세혈관에 병적변화를 일으켜 안저출혈을 초래하여 시력을 잃기도 한다.
콜레스테롤 검사
- 콜레스테롤이란? : 콜레스테롤이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지방질의 하나이며 부신피 질호르몬,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된다. 인체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를 만드는데콜레스테롤이 필수적이므로 성장기 아동에게는 많이 필요하며 부족하면 성장에 지장이 있다. 또한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되어 지방질을 소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우리 인체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지방이다.
- 왜 콜레스테롤이 문제가 되는가? : 혈액속에 콜레스테롤의 농도가 높으면 동맥경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 협심증과 심근경색증등이 발병하게 된다.
그러면 동맥경화란 무엇인가? 동맥경화란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을 관상동맥이라고 부른다.
관상동맥 속을 흐르는 혈액은 심근의 수축에 필요한 모든 것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동맥에 이상이 생겨 좁아지면 혈액이 흐르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있다. 이러한 상태를 동맥경화라 하고 혈액속에 있는 여러 성분이 동맥벽에 영향을 주는데 콜레스테롤이 주도적 역할을 한다. 동맥벽 안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고, 벽이 두꺼워지고, 혈액이 통과할 수 있는 혈관안의 통로가 좁아 지거나 막히기도 한다. 이런 식으로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오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일으킨다. 이러한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요인은 콜레스테롤, 고혈압, 흡연등이며, 그밖에 당뇨병, 비만, 운동 부족 등도 요인이 될 수 있다. - 콜레스테롤이 정상치는? : 콜레스테롤이라고 말할때는 혈액속의 농도를 말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정상치가 없다고 생각해도 된다.
보통 250mg/㎗ 이상일 때 고콜레스테롤혈증으로 인정받고 약물치료를 받지만 협심증이 있거나 관상 동맥경화증이있을 경우에는 220mg/㎗이상이면 콜레스테롤치를 내리기위한 치료를 한다. 콜레스테롤치와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률을 비교한 연구결과 콜레스테롤치200mg/㎗을 기준으로 할 때 260mg/㎗면 사망률이 2배 300mg/㎗면 4배가 된다. 즉 200~230mg/㎗정도를 경계로 해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건강인이라도 220mg/㎗이하의 콜레스테롤치가 바람직하다. - 콜레스테롤치를 내리려면? : 혈액속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섭취량을 줄이거나 지단백의 대사를 촉진시켜서 소비 또는 제거되는속도를 가속해주면된다.
- 음식에서 섭취하는 양을 줄인다.
- 장에서 흡수되는 양을 줄인다.
- 운동을 함으로써 지질대사를 촉진시켜 열량을 소비한다.
성매개감염병검사
- 성매개감염병이란? : 어떠한 경우로든 성관계로 인하여 옮기는 모든병을 성매개감염병으로 불리며 그중 대표적으로 임질, 매독, 연성하감등을 들 수 있다.제2차 세계대전 전후로 항생물질이 개발되어 이들 성매개감염병이 한때는 거의 그림자를 감추었으나 ,그후 내성균의출현과 성개방 풍조에 따라 다시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이들 성매개감염병외에도 비임균성요도염이나 트리코모나스 기타의 성행위에 의한 감염이 증가하고 최근에는에이즈까지 등장하여 인류에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다.
이들 성매개감염병의 특징으로는- 대부분 면역성이 없으므로 재감염이 되며
- 종류가 다양하여 진단방법, 치료방법이 각각 다르다.
- 복합감염 및 수직감염(모체)이 가능하다.
- 정확한 역학적 자료 및 통계, 정보가 어려워 예방관리가 어렵다.
- 임질검사
- 임질은 Neisseria gonorrhoeae라는 임균에 의해 감염되는 병으로 잠복기는 1~5일이며 남성의 경우 증세가 뚜렷이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 방광염이나 자궁에 감염증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페니실린 내성균에 의한 임균이 혈액속에 들어가 피부 농포를 만드는 것도 있다.
- 검사방법으로는 남성의 경우 뇨도의 분비물이나 뇨도내 점액을 부드럽게 긁어서 채취 후 도말염 색하여 현미경상에서 세포내 그람음성 쌍구군을 관찰하는 현미경 검사와 선택배지에 배양동정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여성의 경우 멸균된 면봉을 자궁경관내 분비물을 채취 현미경검사와 배 양검사를 한다.
- 매독검사
- 매독은 Treponema pallidium라고 하는 나선균의 감염에 의한 것으로 피부의 작은 상처로 침입한 후 정상적인 점막면을 통과하여 혈류로 유입되어 전신으로 퍼진다.
- 매독의 증상과 진행과정
- 제1기 매독 : 감염10~30일사이에 전신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병변부위에 궤양이 생긴다. 그러나 통증이 없으며, 궤양은 딱딱하다.
- 제2기 매독 : 1기로부터 4~6주후에 나타나며 전신의 여러장기로 매독 균이 침입하여 피부에 붉은색 반점이 생기며, 이시기에 타인에게 감염시킬수 있는 가장 위험한 시기이다. 전신의 발진은 수주~1년정도 지속되다가 자연히 소실되기 때문 에 외관상 치유된 것 처럼보이나 혈청반응은 양성으로 나타난다.
- 제3기 매독 : 잠복기 2년후에 나타나며, 만기양성매독, 신경매독이 이에 속한다. 이 기간에는 광범위한 조직손상과 반흔이 형성되며 감염후 10~20년 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 시기는 반드시 뇌척수액검사를 하여야 한다.
- 선청성 매독 : 통상임신한지 16주이후에 태반을 통해 감염되어 태아에게 서 면역학적 반응이 나타나게되며, 감염아는 출산전 또 는 출산 직후에 약 50% 정도 사망하며 살아남은 유아라도 40% 정도는 전신의 모든 장기에 현저한 매독균의 침입을 알리는 급성 현성 매독 소견을 나타난다.
- 매독은 한가지 방법으로는 진단이 힘들기 때문에 시험법이 다양하다. 1차 검사시 Reactive로 나왔을 경우 주로 전에 앓았던 것임을 나타내고, 2차검사시 수치가 높으면 현재 진행중인 것을 나타낸다. 현 시험법에서는 감염4~6주후에 항체가 형성되며 2차 매독기에 항체역가가 최고에 달한다.
- 연성하감 : 듀크레이 간균에 의한 것인데 감염되면 남녀같이 음부에 격통을 수반하는 궤양이 되어 서혜림프샘이 부어 오른다. 이 병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사라졌다.
- 비임균성 요도염, 자궁경관염 : 클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의 감염에 의한 요도염은 남성 비임균성 요도염의 약 반수 정도에서 볼 수 있다. 여성에겐 자궁경관염을 일으키며 더 깊이 침 입하여난관염이나 골판내 염증을 일으킨다. 비임균성 요도염의 진단규정으로
- 병력상 무증상이거나 요도분비물(점액성 분비물), 소양감, 배뇨곤란
- T.M 배지에서 자라지않는다.(임균과 동시 검출이 될 수있다.)
- 그람 염색상 intra cellural 이 없다.
- 트리코모나스 질염 : Trichomonas vaginalis라는 기생충에 의해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력이 매우 강하여 배우자에게 전염 시킴으로함께 검사를 받아야 한다. 증세는 가렵고 따끔거리며 다량의 대하가 있고 남자에게는 별 증세가 없는 것이보통이나 섭호선, 부고환까지 염증이 미칠때도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신선한 질분 비물을 직접 도말하여현미경검사를 하고, 남성에게는 요도 분비물 또는 요의 침사를 경검한다.
채혈·채뇨
- 당뇨 검사(뇨당)
- 예상질병 : 당뇨병
- 정상혈당수치 및 당뇨수치표
정상혈당수치 및 당뇨수치표를 구분, 식사전 혈당, 식사후 혈당, 취침전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식사전 혈당 식사후 혈당 취침전 일반인(정상) 100이하 140이하 120이하 당뇨환자 80~120이하 180이하 100~140이하 주의요망 140이상 200이상 160이상 - 검사의 목적과 방법 : 녹말이나 과당 등의 당질은 장에서 흡수되어 간장에서 포도당으로 분해되고 혈액에 의해 운반되어 각각의 조직으로 이동하여 에너지로 사용됩니다. 이때 혈액중의 포도당을 혈당이라고 하며 이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그런데 인슐린의 분비와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혈당치가 상승하여 당뇨병을 야기 시키게 됩니다. 혈당을 측정할 때는 식사의 영향을 쉽게 받으므로 아침 공복에 측정하며 방법으로는 포도당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방법과 간이 테이프를 혈액에 담그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 의사의 조언 : 검사하는 날 아침은 금식하여 공복상태에서 검사를 해야 합니다.그리고 당뇨병으로 진단이 되면, 안저검사, 요담백검사, 신경검사를 받아야 하며 기타 합병증도 검사를 해야합니다.당뇨병은 만성 질환이므로 느긋하게 장기간 치료를 해야 하며 의사의 지도에 의한 적당한 운동을 하는것도 좋습니다.경계형의 경우 당뇨로의 진전이 우려되므로 과식이나 운동 부족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정기적인검사가 요구됩니다. 경계형이나 비만의 경증 당뇨병 환자에서는 체중조절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요검사 - 요단백
- 예상질병 : 요로 감염증, 방광염, 신장염, 신증후군, 신장 경화증 등
- 정상치 : 음성 (-) (정성 검사) 1일 100㎎이하 (정량 검사)
- 검사의 목적과 방법 : 요에 나온 단백의 양을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단백질은 원래 신자의 사구체에서 일단 여과되지만 요세관에서 99%이상 재흡수되어 혈액 속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신기능이 정상적이면 요중 배설되는 단백의 양은 적습니다. 그러나 요에 단백이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경우는 주로 다음의 세가지 요인에 의합니다.
- 신장 사구체 장애 : 신장 사구체의 필터에 구멍이 커져 단백질이 이를 통해 유출되는 경우
- 요세관의 재흡수 장애
- 혈중 단백의 과잉 이렇게 요단백이 증가하면 혈중 단백이 부족해져 부기가 나타납니다.검사에는 요단백의 존재여부를 검사하는 정성반응과 그 양을 측정하는 정량검사가 있습니다.
- 수치보는법 : 정성검사는 음성(-)이 정사이며 정량검사는 10~20㎎/㎖정도면 음성으로 판정됩니다.이 정도의 수치는 생리적 요단백이라 부릅니다. 정량검사는 5~10㎎/㎖이하, 1일량이 100㎎이하이면 정상치이고 초과하면 이상으로 봅니다.그러나 신장에 이상이 없더라도 과격한 운동이나 정신적인 흥분, 심한 스트레스, 추위, 고단백 식사, 생리전후,목욕 후 등에는 요단백이 많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주요질병 : 양성의 경우 신장계 이상과 신장 외 이상이 있습니다.신장계 질병으로는 요로 감염증, 방광염, 신장염, 신증후군, 신장 경화증 증이 의심되면 신장외 질환으로는다발성 골수종이나 전신성 루프스, 류머티스성 관절염, 수은 중독, 납중독 등의 비교적 중대한 병과열성 단백뇨, 기립성 단백뇨, 울혈성신부전 등의 비교적 양성인 병이 있습니다.그리고 임신 중에 단백뇨가 다량으로 나올 때 임신 중독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의사의 조언 : 운동이나 스트레스등으로도 이상이 나올 수도 있으므로 1회 검사만으로 요단백 이라 단정 지을 수 없습니다.재검사, 새벽 채취뇨, 내원해 채취한 요 등을 비교하고, 다른 신기능 검사를 통해 부기, 체중 변화 등의증상과 아울러 종합적으로 판단을 내립니다.
- 간염 검사 - HBS항원, 항체
- 예상질병 :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 경변, 간암
- 정상치 : HBs 항원 : 음성(-) HBs 항체 : 양성(+)
- 검사의 목적과 방법 : 바이러스 간염에는 A~G형의 많은 종류가 있다고 알려졌는데 이중 B형 간염(HB)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하는 것을 "B형 간염" 이라고 합니다.이는 HBs항원,항체의 유무를 통해 HB바이러스의 감염여부를 조사하는 방법입니다. HB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하면 간세포로 가서 증식하는데 간세포 안에서 HB바이러스는 1개당 1000개의HBs항원을 만들어냅니다. 이때 혈액 속에 방출된 HBs항원은 간세포의 세포막성분과 결합하게 됩니다.혈액 중에 생긴 HBs항체와 “킬러 T세포”라고 불리는 림프구가 간의 HB바이러스를 파괴하는데 이때 감염된간세포도 같이 파괴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간염의 발생기전 입니다.이 때 HB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은 간세포가 많을 수록 HBs항체도 많아지므로 간상해도 커지고 따라서전격성 간염 등의 심각한 증상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그러나 HB바이러스가 작용해도 면역 기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HBs항체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별다른 증상이 없는데 이를 무증후성 캐리어(보균자)라고 합니다. 또 면역작용이 불충분한 경우는HBs항체가 적기에 파괴되는 간세포도 적어서 간염 증상은 가볍지만 지속적인 만성 간염상태가 됩니다.
- 수치보는법 : HBs항원, 항체모두 음성이면 정상이고, HBs항원이 양성이면 감염을 의미하며, 급성 간염이나 만성 감염으로인한 간 장애가 우려됩니다. 단 HB항원의 내부 항체인 HBe항원만이 양성인 경우는 감염되었다는 것을의미하게 됩니다. 또한 항원이 음성이고 항체가 양성인 경우는 과거에 바이러스 감염의 경험을 의미하며확실히 면역 항체의 존재를 의미하며 체내 바이러스가 없으므로 타인에게 전염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이는 HB백신으로 얻게 될 수도 있습니다.
- 주요질병 : HBs항원이 양성이면 B형 간염이 의심되고 만성 간염이나 간 경변, 간암 등의 간장 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HBs항원이 양성이고 HBe항원이 양성이면 바이러스의 증식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며 HBe항체만 양성이면바이러스의 증식은 멈춘 것입니다.
- 의사의 조언 : B형 간염의 대표적인 경로는 어머니로부터 신생아와 유아로의 감염인데 이때는 면역기능이 약하므로 무증상의보균자의 성격을 띄게 됩니다. 이런 경우는 장차 발병의 우려가 있으므로 6개월에 1회 정도의 검사가 요구됩니다.그리고 이런 경우 후에 간염, 간암, 간경변증으로 진전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만일 B형 간염 환자가 임신 했을 때는면역 글로불린(HBIG)이나 HB백신을 접종하여 태아 감염을 예방하여야 합니다.그리고 섹스에 의한 감염도 최근 들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주의를 요하며 칫솔이나 면도날을 공용 하지 말며, 유아에게 입으로 음식을 먹여주는 등의 행위는 자제해야 합니다.
페이지 만족도조사
- 담당부서 : 질병관리
- 전화번호 : 054-830-6672
- 최종수정일 : 2025-01-16